카테고리 없음

黃芪(황기)에 대하여

生命사랑 2014. 7. 8. 13:59

黃芪(황기)


◇ 성미(性味) ◇
性은 微溫無毒하고 味는 甘하다.

 

◇ 귀경(歸經) ◇
入肺, 脾 二經 (實表補氣之品)

 

◇ 용량(用量) ◇
4∼12g, 大劑 37.5∼75g

 

◇ 효능(效能) ◇
固表,補中益氣,生肌,升陽,益氣,益胃,托瘡,退腫.
황기는 인삼과 함께 폐와 비에 작용하여 인체의 기를 보하는 대표적인 약이다. 기가 허하여 지나치게 많은 땀이 흐르거나 상처가 잘 아물지 않는 것을 치료하는데 이 때는 말린 것을 그대로 사용한다. 볶아서 쓰면 만성 쇠약, 특히 소화기가 약하여 피로가 쉽게 쌓이고 힘이 없거나 폐의 기운이 허약하여 목소리가 가늘고 감기에 자주 걸리는 것에 좋다. 황기는 기를 보하는 작용은 인삼에 미치지 못하나 기운을 위로 끓어 올리고 체표를 튼튼하게 땀을 멎게 하고 허약하여 상처가 잘 아물지 않는 것을 낫게 하는 작용이 더 있다. 황기는 기운을 보강할때에는 황기의 굵은뿌리 즉 몸통을 사용하고 땀을 그치게 하는데는 잔 뿌리를 쓴느것이 효과적이다.


* 약리작용 :
몽고황기(蒙古黃耆) - 이뇨. 강압. 강심의 작용, 면역증강작용이 있으며 실험에서 신염에 유효하다.
막협황기(膜莢黃耆) - 이뇨. 강압. 강심작용, 면역기능 증강작용, 신염 유효작용이 있다.

 

◇ 주치(主治) ◇
生用固表, 無汗能發, 有汗能止, 溫分肉, 實疇理, 補肺氣, 瀉陰火, 解肌熱. 炙用補中, 益元氣, 溫三焦, 壯脾胃, 生血生肌, 排膿內托, 瘡癰聖藥, 痘症不起 陽虛無熱者宜之, 脚氣, 久潰不斂, 氣虛水腫, 氣虛自汗, 氣虛證, 膿成不潰, 慢性腎炎浮腫, 面目浮腫, 崩漏, 脾胃氣虛證, 胃下垂, 子宮脫垂, 中焦虛寒證, 瘡瘍內陷, 體虛盜汗, 脫肛.


◇ 해설(解說) ◇
1. 脾肺氣虛 혹은 中氣下陷의 증후에 쓰인다.  脾는 生化의 근원이 되며 肺는 一身의 氣를 주관하므로, 脾肺氣虛하면 食小便당·氣短乏力등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만약 中氣下陷하면 久瀉脫肛·子宮下垂를 招來할 수 있으며, 또한 氣虛로 攝血 할 수 없으면 便血·崩漏를 초래할 수 있다.  본 약재는 脾·肺의 氣를 補養할 수 있어 補氣의 要藥으로 昇擧陽氣의 작용을 한다.  그러므로 上述한 여러 병증을 치료하는데 쓸 수 있다.  그러나 반드시 각기 다른 氣虛表現에 따라 상응하는 약과 배합하여 사용해야 한다.  예컨대 人蔘과 같이 써서 補氣의 효능을 높여 病後 氣虛로 인한 體弱을 치료할 수 있으며,  白朮과 배합한 것을 사용하면 補氣健脾하여 脾氣虛弱, 食小便당 혹은 설사를 치료할 수  있다.  그리고 當歸와 배합한 것을 사용하면 補氣生血하여 氣虛로 인한 血虧를 치료할 수 있고, 附子와 배합하면 補氣助陽하여 氣虛로 인한 陽衰·畏寒多汗을 치료할 수 있다. 그리고 人蔘, 白朮·升麻등과 배합하여 사용하면 補氣昇陽하여 中氣下陷, 久瀉脫肛, 子宮下垂를 치료할 수 있다.  예컨대 補中益氣湯과 같은 것이다.  또한 人蔘, 龍眼肉,  棗仁등과 배합하여 사용하면 氣虛로 攝血할 수 없는 便血·崩漏를 치료할 수 있는데, 즉  歸脾湯과 같은 것이다.

2. 衛氣虛로 인한 表虛自汗에 쓰인다.  본 약재는 益衛氣 할 수 있기 때문에 固表止汗의 효능이 있다.  예컨대 牡蠣, 小麥, 麻黃根과 배합하여 自汗을 멎게 할 수 있는데, 즉  牡蠣散이다.  또한 본 약재는 陰虛로 인한 盜汗도 치료할 수 있으나, 반드시 生地黃·黃柏등 滋陰降火藥과 배합하여 사용해야 한다.  예컨대 當歸六黃湯과 같은 것이다.
3. 氣血不足으로 인한 癰疽不潰 혹은 潰久不斂에 쓰인다.  본 약재는 補氣하고 양호한 托毒生肌의 효능이 있다.  보통 當歸·穿山甲·조角刺등과 같이 쓰는데, 예컨대 透膿散은 癰疽不潰를 치료할 수 있다.  그리고 當歸·人蔘·肉桂등과 배합하여 사용하면 生肌斂瘡할 수 있는데, 예컨대 十全大補湯과 같은 것이다.
4. 補氣·利尿·退腫의 효능이 있어 氣虛失運·水濕停聚로 인한 肢體面目浮腫·小便不利등에 적용된다.  대체로 防己, 白朮등과 배합한 防己黃耆湯과 같은 것이다.
이 밖에 氣虛血滯로 초래된 肢滯麻木·關節痺痛·半身不隨 및 氣虛津虧로 인한 消渴 등에  쓰인다.  桂枝, 白芍藥, 生薑, 大棗를 배합한 黃耆桂枝五物湯은 지체마목을 치료할 수 있다. 그리고 羌活, 防風, 當歸, 片薑黃등과 배합한 견痺湯을 사용하면 肩臂風濕痺痛을 치료할 수  있다.  본 약재를 主藥으로 하여 當歸·川芎·桃仁등 活血化瘀藥과 배합하면 補陽還五湯이  되는데, 이약은 中風 후유증인 반신불수를 치료할 수 있다.  消渴證을 치료할 때에는 대체로 生地黃·麥門冬·天花紛등 養陰生津藥과 배합하여 사용하는데, 이는 益氣生津의 효과를 나타낸다.

 

[가공(加工)]
위기를 보하고 표를 견고히 하고자 할 때는 잔뿌리를 제거하고 생용하며 몸의 기를 보할 경우에는 꿀을 먼저 약한 불에 계속 끊여서 꿀의 점성이 약해지면 이것을 물에 희석시켜서 약재를 담가서 사용하거나 꿀과 함께 볶는다.

※적합한 체질(體質) : 소음인

 

[본초강목(本草綱目)]
<本經(본경)>: 오래된 종기를 터뜨리고 고름을 배출시키고 통증을 줄이고 나병과 같은 피부병과 치질, 치루를 치료하며 허약한 것을 보충하여 소아의 모든 병을 낫게한다.
<別錄(별록)>: 여성의 자궁에 風邪(풍사)가 침범한 것과 五臟(오장) 사이에 瘀血(어혈)을 물리치는 효과가 있으며 남성이 쇠약한 것과 피로한 것을 치료하고 갈증을 멎게 하며 복통과 설사를 치료하고 기운을 북돋우며 陰氣(음기)를 이롭게 한다.
<甄權(견권)>: 허약해서 생기는 기침과 腎(신)이 쇠약해서 귀가 어두워지는 증상과 한열왕래를 치료하며, 등에 생긴 종기를 치료하고 속을 補(보)한다.
<日華字本草(일화자본초)>: 氣(기)를 돕고 血(혈)을 補(보)하며 筋骨(근골)과 肌肉(기육)을 튼튼하게 하고, 積聚(적취), 나력, 영贅(영췌), 腸風(장풍), 血崩(혈붕), 帶下(대하), 赤白痢(적백리)를 없앤다. 또한 산후의 모든 병을 치료하고 월경이상과 기침, 가래, 頭風(두풍), 熱毒(열독), 目赤(목적)을 치료한다고 하였다.
<張元素(장원소)>: 쇠약해서 나는 식은 땀을 치료하고 肺氣(폐기)를 보충하며 肺火(폐화)와 心火(심화)를 제거하고 피부를 튼튼히 하고 胃氣(위기)를 돕고 살갗의 열을 제거하고 모든 경락의 통증을 제거한다고 하였다.
<王好古(왕호고)>: 太陰經脈(태음경맥)의 학疾(학질)과 陽維脈(양유맥)의 이상으로 惡寒發熱(오한발열)이 나거나 督脈(독맥)의 이상으로 氣(기)가 逆(역)하고 대변을 참을 수 없는 증상을 치료한다고 하였다.

 

◇ 배합(配合) ◇
1.  黃朞에 人蔘을 配合하여 益氣하고,
2.  當歸를 配合하여 補血하고(大失血後 發熱脈虛者에 亦用)
3.  人蔘, 甘草를 配合하여 燥熱과 肌熱을 除하고,
4.  白朮, 防風을 配合하여 表虛自汗과 脾濕을 治하고,
5.  防己, 防風을 配合하여 風濕을 居하고,
6.  桂枝, 附子를 配合하여 衛虛亡陽, 汗不止를 治하고,
7.  白芍藥, 金銀花, 甘草, 彫角刺를 配合하여 排膿, 生肌, 托毒하고,
8.  桂枝, 白芍藥, 炙甘草를 配合하여 陽虛自汗을 治하고,
9.  地骨皮, 白微를 配合하여 虛勞骨蒸을 治하고,
10. 生地黃, 熟地黃, 黃芩, 黃連, 當歸, 白芍藥을 配合하여 陰虛,盜汗을 治하고,
11. 防己, 桂皮, 甘草, 茯逞을 配合하여 四肢腫皮水를 治하고,
12. 陳皮, 白蜜을 配合하여 虛人腸閉를 通하고(脾, 肺를 補하는 것)
13. 半夏, 陳皮를 配合하여 除痰하고,
14. 人蔘, 肉桂를 配合하여 虛熱, 小兒痘瘡頂陷, 漿淸,皮薄者를 治하고,
15. 芍藥, 桂枝, 苦酒를 配合하여 黃汗, 身重發熱을 治하고,
16. 當歸, 肉桂를 配合하여 姙娠腹痛을 治하고,
17. 桃仁, 紅花, 地龍을 配合하여 半身不遂를 治한다.

18. 麻黃根, 稻根 ,龍骨, 牡蠣을 配合하여 盜汗및 多汗症을 治한다.

19. 金櫻子 石榴皮 肉豆久 栗皮 玄草를 配合하여 急,慢性泄瀉를 治한다. 


◇ 기원(基源) ◇
荳科(콩과 Leguminosae)에 屬한 多年生草本인 단너삼의 地下莖 이다.
全株에  細毛가 있고  根은 肥大한데 地中에 長入하며 莖은 直立하고 많이 分枝하며  높이는 1m정도이다.  葉은 互生하는데 短柄이고  奇數羽狀複葉을 이룬다. 小葉은 6∼11쌍으로 斜立하고 卵狀長楕圓形을 이루고 鈍 또는 圓脚이거나 圓頭 微凸端이요, 全緣이다. 꽃은 7,8月에 總狀花序를 이루어  腋出하는데 長梗이요, 多數花를 密着하여 淡黃色의 蝶形花가 핀다. 果實은 莢果인데 多少 倒卵狀楕圓形을 이루고 光澤이 있으며 長柄으로서 懸垂하다.


◇ 금기(禁忌) ◇
茯逞을 使로 하고  龜板과 白鮮皮를 惡하고,  表에 邪가 있는 者, 氣實者, 內塞補不足, 胸膈氣閉悶者, 腸胃有積滯者는  禁하며  陽盛陰虛者와 上焦熱甚 및 下焦 虛寒者는 忌하며 病人이 多怒하며  肝氣不和者는  禁하고 痘瘡血分熱盛者는

禁用한다. 無汗者 口渴者는 愼重하게 使用해야 한다.


◇ 형태(形態) ◇
黃耆는 細長한 圓錐形 또는 圓柱形 或은 棒狀을 이루고 길이는 10∼80cm, 直徑은 0.2∼15mm인데 흔히 分岐되었고 頂端에  莖의 殘基가 있다.  外面은 淡白色을 呈하고  灰褐色 콜크層이 군데 군데 있다.  質은 堅硬하고 破折面은 纖維性이다.  橫切面의 皮部는 白色이고  中心部는 類黃色을 띠고 있다.


◇ 성분(成分) ◇
蔗糖, 葡萄糖, 澱粉,  粘液質,  樹膠,  纖維素 및  Vitamin B등을 含有하였다. 日本産 黃朞는  蛋白質 12.99%,  脂肪 5.07%,  纖維 24.13%을 含有하였다.


◇ 산지(産地) ◇
慶北, 江原, 咸南北의 山地와 高山에 分布되어  自生하는데  茂山 寧越이 有名하고  各地에서 栽培 한다. 最近에는 忠北堤川에서 많이 栽培한다.
中國에서는  陝西, 山西, 南北等地에서 産한다.


◇ 수치(修治) ◇
잡질을 제거하고 切片하여 사용한다. 自汗, 盜汗 및 益衛固表에는 生用하고, 補氣升陽에는 蜜炙하여 사용한다.

 蜜炙하면 補肺하는 효능이 많아진다.


◇ 학명(學名) ◇
Astragalus membranaceus Bunge.

황기.jpg

                황기잎과꽃                                                      황기씨앗

 

황기의효능

                  절단한 황기                                              원형 황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