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本草學情報

우슬에 대하여

生命사랑 2009. 2. 19. 18:01

牛膝(우슬:쇠무릅풀)

우슬국산

 

우슬수입

 

우슬 잎과 줄기

 

이명:백배(百倍), 회우슬(懷牛膝), 계교골(鷄膠骨)

학명:Achyranthes fauriel Leveille et Vaniot, Achyranthes bidentata Blume

기원:비름과에 속한 우슬의 뿌리를 건조한 것

주의사항:임산부와 월경의 분비량이 비정상적으로 많은 사람은 복용을 금한다

 

효능 효과

우슬이란 약재명을 풀어서 그 뜻을 보면 소의 무릎이란 뜻이 된다. 약재의 형상이 소의 무릎의 형상을 띤다고 하여 우슬이란 이름이 유래되었다. 그 형태가 무릎의 형상을 가지고 있기 때문인지 몰라도 관절염에 효능이 있다고 전해진다. 우슬은 그 포제 방법에 따라 크게 두가지의 효능으로 나누어 지는데 생용으로 사용하면 어혈과 종기등을 없애는 효능이 있으며, 찌게 되면 간과 신을 보하고 뼈와 근육을 튼튼하게 하는 효능이 있다. 그리고 우슬은 혈분에 들어가 밑으로 이끄는 작용이 있기 때문에 부인과의 어혈증상에 많이 사용된다. 그 밖에 골수를 보충하고 음기를 잘 통하게 하며 머리가 하얗게 세는 것을 막아주고 허리와 척추가 아픈 것을 치료한다.

 

성상

높이 50~100㎝. 가지가 많이 갈라지고, 잎은 마주나며, 8~9월에 잎겨드랑이와 원줄기 끝에서 수상화서로 자란다. 꽃은 밑에서부터 피어올라가며 밑으로 굽고, 꽃받침은 5개, 수술도 5개. 포과는 긴 타원형이고 꽃받침으로 싸여 있으며, 1개의 종자가 들어 있다. 약재는 가늘고 긴 원주형의 주근 또는 곁뿌리가 달린 주근이며 근두부는 약간의 근경이 붙어 있든가 또는 제거되어 있다. 주근은 대개 막대모양이거나 또는 약간 구부러졌고 길이 15~90㎝, 지름 3~7㎜이다. 바깥면은 회황색~황갈색이며 많은 세로주름과 드문드문 곁뿌리의 자국이 있다.

 

채취시기및 산지

가을철에 채취하여 햇볕에 말린다. 우리나라 전국 각지의 인가 주변에 자생하거나 재배한다. 중국의 두메쇠무릎은 사천성 부근에서 산출된다.

 

법제(가공)

우슬은 천우슬과 회우슬로 구분하여 사용하는데, 어혈을 없애는 효능을 주로 하고자 할 때는 천우슬을 생용하는 것이 좋고 간과 신을 보하고 뼈, 근육을 튼튼하게 하과자 할 때는 회우슬을 가공하여 사용하는 것이 좋다.

 

우슬약초에 대한 설화

옛날 어느 한 의원은 어떤 약초의 뿌리에 대해 특별히 연구하였으며 그 약초로 뼈나 근육에 대한 질환과 간장과 신장의 병에 걸린 환자를 치료해 오고 있었다. 하지만 의원은 나이가 들어 이 약초에 대해 전해줄 제자가 필요하였기에 진실한 제자에게 물려주기로 하고 시험을 해보기로 하였다. 그래서 그 의원은 세 제자를 앞에 두고 다음과 같이 말을 했다. "이제 너희들은 내 밑에서 다 배웠으니 제갈길로 가거라" 그런데 한 제자는 속으로 생각하기를 "스승님은 그동안 수많은 환자들을 치료했으니 벌어놓은 돈도 많을꺼야" 그래서 그 제자는 스승을 돌보기로 자청하여 자신의 집에 모셨는데 스승이 잠깐 밖으로 나간사이에 스승의 짐을 풀어보고 돈이 하나도 없음을 발견하고는 그때부터 태도가 돌변하였다. 그래서 그 스승은 그 제자의 집을 나와 또다른 제자에게 찾아갔는데 그 제자 역시 스승이 돈이 없음을 알고 냉담하게 대할 뿐이었다.

다시 그 집을 나와 그중에서 나이가 제일 어린 제자의 집으로 찾아갔는데 그 제자는 스승이 돈이 없다는 사실을 알고서도 부모처럼 정성껏 모셨다. 그런데 어느날 스승은 병에 걸려 누워 있었는데 그 제자는 정성껏 돌봐드렸다. 제자의 정성에 감동한 스승은 어느날 제자를 불러 약초 하나를 꺼내면서 다음과 같이 말을 했다. "이 약초는 뼈와 근육 뿐 아니라 간장과 신장의 병을 치료하는 약이니 이 약으로 많은 사람을 구해주거라."라는 말을 남기고 스승은 세상을 떠났다. 그 제자는 스승의 뜻대로 이 약초를 잘 써서 많은 환자들을 정성껏 돌봐주어 명의가 되게 되었다. 이 약초는 마치 소의 무릎과 너무 유사하여 '소'라는 뜻의 '우(牛)'와 '무릎'이라는 듯의'슬(膝)'을 합해 '우슬(牛膝)'이라는 이름을 짓게 되었는데 신기하게도 사람의 무릎을 치료해도 효과가 좋은 약이다.

 

감별정보

우슬은 우리나라에서는 평남이남에서 잘 자라며 중국, 일본, 히말라야에 자생하는 식물이다. 주로 회우슬과 천우슬, 토우슬로 나누는데 회우슬과 천우슬은 모두 중국이 원산이며 토우슬은 우리 나라에서도 자생하고 있다. 주로 회우슬이 정품으로 사용되나 천우슬로 대용하기도 한다. 회우슬과 천우슬은 겉 형태상으로는 비슷하나 색이 회우슬이 붉은 빛을 띠는 것이 특징이다. 중국산이 국산에 비하여 더욱 밝은 색을 띠며 씹으면 쫄깃하며 약간 단맛을 띠는데 반하여 국산은 크기가 작고 황색이나 진한 빛깔을 띠며 질이 퍼석퍼석하다.

 

우슬은 혈액순환을 없애며 월경을 잘 통하게 하고 관절운동을 부드럽게 해준다.

♠ 허리와 하반신이 아픈 데, 마비증,각종 신경통에 좋고 타박상에 하루 4 ∼ 10g을 달임약 ∼ 약술 형태로 먹는다.

♠ 요통에는 끓여 즙을 내어 먹거나, 술에 우려내어 먹는다. 또 연한 잎을 따서 쌀과 장에 섞어 죽을 쑤어 먹는다.

♠ 병후 기력이 부족할 때와 만성 소모성질환으로 미열이 나면서 힘이 없을 때 우슬. 지골피. 백봉령.숙지황.인삼 각 40g씩 가루내어 꿀로 버무려 0.3g씩 알약으로 만들어 한 번에 50 ∼ 70알씩 먹는다.

♠ 다리와 무릅이 아프며 마르고 약해져서 굽혔다 폇다 못할 때는 쇠무릅(우슬)을 끓여 먹거나, 알약으로 만들어 먹거나, 술에 담가 우려서 먹는다.

♠ 음위증에는 쇠무릅풀(우슬)을 끓여 먹거나, 술을 빚어 먹는다. (여성이 처음 성관계를 하고 음부가 계속 아프면 우슬을 80g 을 물에 끓여 먹거나 술에 타서 먹는다.)

♠ 이질에는 쇠무릅(우슬) 뿌리 8 ~ 10g을 1회분으로 달여 4 ~ 5회 복용한다.

♠ 머리칼이 희지않게 하려면 우슬 300g을 술(2홉 소주)에 2달 담구었다 먹으면 남성에게 좋다.

♠ 신음 부족으로 입이 마르고 눈이 침침하면서 귀가 잘 들리지 않거나 허리가 아플 때는 우슬 천문동 맥문동 마른 지황 숙지황 백작약 지골피 석곡 현삼 자석 침향을 각각 같은 양을 가루내어 꿀로 버무려 0.3g씩 알약을 만들어 한 번에 70알씩 연한 소금물에 먹으면 효험이 있다.

발기가 잘 않되고 된다해도 금방 시들어버릴때는 우슬 복분자 토사자 음양곽 가구자 파고지(염주초) 육종용(주증) 파극(주증)을

잘 말려서 환약을 지어 호환녹두대 크기로 만들어 1일 3회 1회에 50~90환을 따뜻한물 또는 따뜻한 청주로 식전에 복용하면 대단히 효과가 크다 

♠ 연한잎은 나물로 삶아 무쳐 먹으면 약의 효과를 기대할수 있으면서 맛도 좋다.

♠ 출산후 태가 나오지 안을때 당귀 우슬 100g을 달여 복용하면 곧 태가 나온다.

♠ 무릅이 아플때는 우슬 목과 빈랑 오가피 두충 창출 계지 계혈등 80g 남성 홍화 소목 도인 감초 50g을 달여 복용하면 좋다.

 

본초학적 해설

 
◇ 성미(性味) ◇
性은 平無毒하고 味는 苦酸한데 甘味를 帶하였다.

 

◇ 귀경(歸經) ◇
入肝, 腎 二經.(走而能補之品)

 

◇ 용량(用量) ◇
8∼16g 증상과 체질에 따라 증감사용

 

◇ 효능(效能) ◇
利尿通淋(生用),補肝腎强筋骨(熟用),瀉火解毒(生用),引血下行(生用),活血祛瘀(生用).
혈액의 순환을 원활하게 하고 어혈을 제거하는 작용을 가지고 있어 월경을 조절하는 효과가 있으며, 또한 관절의 움직임을 부드럽게 하고 근골을 강하게 하여 관절이 저리고 아픈 증상, 허리와 무릎이 시리고 아픈 증상, 근골이 힘이 없는 증상 등에 효과가 있습니다. 이 외에도 풍을 몰아내고 소변시 피가 섞여 나오거나 잘 나오지 않으면서 아픈 증상 등에도 이용됩니다.
* 약리작용 : 알콜 침제는 관절염 억제작용이 있고, 유동 Ex는 개와 토끼에 대한 강압. 이뇨. 자궁흥분작용이 있다.

 

◇ 주치(主治) ◇
鹽炒酒蒸熟則, 甘酸而溫, 益肝腎, 强筋骨, 治腰膝骨痛, 足蔿筋攣陰蔿, 久虐生用則, 散惡血, 破懲結, 治心腹諸痛, 淋痛尿血, 經閉産難, 喉痺齒痛, 癰腫惡瘡, 金瘡折傷, 口舌生瘡, 難産, 尿道澁痛, 頭痛眩暈, 鼻뉵, 痺症, 産後瘀阻腹痛, 小便不利, 牙간腫痛, 腰膝산痛, 月經不調, 위症, 咽痺, 跌打損傷, 징하, 吐血, 痛經, 閉經, 胞衣不下, 血淋.


◇ 해설(解說) ◇
우슬은 천우슬과 회우슬로 구분하여 사용하는데, 어혈을 없애는 효능을 주로 하고자 할 때는 천우슬을 생용하는 것이 좋고 간과 신을 보하고 뼈, 근육을 튼튼하게 하과자 할 때는 회우슬을 가공하여 사용하는 것이 좋다.

1. 瘀血阻滯로 인한 月經不調·通經·肺經·産後瘀阻腹痛 및 打撲傷痛등의 증후에 쓰인다.  본 약재는 活血祛瘀의 효능이 있다.  상술한 부인과 질환의 경우에는 본 약재에 紅花, 桃仁, 當歸등을 배합하여 經脈을 통리하게 하며, 腰膝 및 足部傷痛의 경우에는 當歸, 川芎, 續斷등과 배합한 것을 사용한다.
2. 腰膝酸痛·下肢無力등의 증후에 쓰인다.  牛膝은 肝腎을 보양하고 筋骨을 강하게 할 수 있으며, 또한 血脈을 通利하게 하고, 관절을 滑利하게 할 수 있고, 그 성질이 下走를  원활하게 하는 특징이 있어 하반신의 腰膝關節酸痛을 치료하는데 쓰인다.  각기 증상에  따라 상응적인 약물을 골라서 섞어 쓴다.  예컨대 肝腎不足으로 인한 요슬산통의 경우에는  杜庶·續斷·桑寄生·木瓜등과 배합하여 쓸 수 있으며, 虛損이 비교적 심하여 위軟無力한 경우에는 熟地黃·龜板·鎖陽·虎骨등과 배합하여 사용하는데 虎潛丸과 같은 것이다.  濕熱下注로 야기된 腰膝關節산痛·脚氣腫痛등의 병증은 蒼朮·黃柏·薏苡仁과 배합한 四妙丸으로 다스리고, 風濕으로 인한 下肢關節疼痛에 속하는 경우에는 木瓜·寒防己·비해·獨活등과 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3. 尿血·小便不利·尿道澁痛등의 증후에 쓰인다.  본 약재는 利尿·行瘀할 수 있어 通淋의  작용을 한다.  當歸, 瞿麥, 通草, 滑石등과 배합하여 쓸 수 있는데 牛膝湯과 같은 것이다.
4. 吐血·육혈·齒痛·口舌生瘡 및 頭痛眩暈 등의 증후에 쓰인다.  본 약재는 苦舌下降하는데 우수하여 引血下行할 수 있으므로 上炎의 火를 下降하게 한다.  上部의 血熱妄行의 증후를 치료할 때에는 白茅根·小계·山梔등과 배합하여 凉血止血하게 할 수  있으며, 陰虛火旺으로 야기된 齒痛·口瘡을 치료할 때에는 언제나 地黃·生石膏·知母등과  배합하여 滋陰降火하는데 玉女煎과 같은 것이다.  陰虛陽亢·肝風內動으로 인한 頭痛眩暈을 치료할 때에는 代자石·生牡蠣·生龍骨·白芍藥등과 배합하여 潛陽攝陰·鎭肝息風 하는데  鎭肝息風湯 과 같은 것이다. 이 밖에 본 약재는 難産을 치료하는 데 쓸 수 있다.  흔히 當歸·川芎·龜板등과 같이 섞어 쓰는데, 이는 牛膝의 引血下行의 효능을 이용한 것이다.

 

[본초강목(本草綱目)]
<본경(本經)>: 한습(寒濕)의 사기로 인하여 다리가 약해지고 저린 증상, 사지가 당기는 증상, 무릎이 아파서 굴신하지 못하는 증상에 혈기(血氣)를 잘 통하게 하고 화상(火傷)과 유산(流産)을 치료한다. 오랫동안 복용하면 몸이 가벼워지고 늙지 않는다.
<별록(別錄)>: 내상(內傷)으로 인하여 기운이 없는 증상, 남성의 성기능 저하, 노인의 소변실금에 몸을 보하고 끊어진 조직을 연결하고 정력을 증강시키고 골수(骨髓)를 충만하게 하며 머리카락이 희게 변하는 것을 막고 두통과 요통 및 척추 통증을 치료하고 부인의 월경이 막히고 어혈이 생긴 것을 치료한다.
<견권(甄權)>: 남성의 성기능 장애를 치료하며 신기(腎氣)를 보충하고 12경맥(經脈)을 돕고 어혈(瘀血)을 치료한다.
<지대명(池大明)>: 허리와 무릎에 힘이 없고 추위를 많이 타는 증상을 치료하고 징가를 제거하고 농을 배출시키며 통증을 멎게 한다. 산후에 복통과 어지러움증을 치료하고 사산된 태아를 배출시킨다.
<왕호고(王好古)>: 근육을 강하게 하고 간이 허약한 것을 보충하여 風症을 없앤다.
<구종석(寇宗奭)>: 종용(종蓉)과 함께 술에 담구었다가 복용하면 腎을 돕는다. 대나무 가시가 살에 파고들었을 때 으깨어서 태운 것으로 그곳을 덮어두면 가시가 금방 나온다.
<이시진(李時珍)>: 오래된 학질로 인한 한열왕래(寒熱往來), 소변이 시원하지 않고 찔끔거리며 혈뇨를 보는 증상, 음경통증, 설사, 인후폐색, 구창(口瘡), 치통, 종기, 외상 등을 치료한다.

 

※참 고
牛膝(비름과의 쇠무릎 Achyranthes bidentata 뿌리의 건조품)은 여러 종류가 있다. 중국산 “懷牛膝”은 쇠무릎(Achyranthes bidentata) 뿌리의 건조품 이지만, “川牛膝”은 Cyathula officinalis의 뿌리이다. “麻牛膝” 및 “紅牛膝”은 Cyathula capitata의 뿌리이고, 臺灣産 “土牛膝”은 Achyranthes obtusifolia, A. rubrofusca 및 A. longifolia의 뿌리이다. 중국의 雲南省에서 생산되는 “白牛膝”은 패랭이꽃과의 Cucubalus baccifer의 뿌리이며, 湖北省 産 “未膝”은 쥐꼬리망초과의 Strobilanthes nemorusus의 뿌리이다.

 

◇ 배합(配合) ◇
1. 牛膝에  乳香 37.5g과  麝香 약간을  配合하여  五淋 諸症에 見效가 極難한 것을 治하고,
2. 牛膝 32g에 冬葵子 1合을 配合하여 胞衣不下를 治하고,
3. 當歸,黃芩을 配合하여 小便不通,莖中痛,婦女血結, 腹堅痛을 治하고,
4. 蒼朮, 仙茅, 木瓜, 石斛, 茯逞, 石楠葉, 五加皮, 鄙骸,生地黃,黃朞, 芍藥, 虎骨, 沈香, 桂皮를 配合하여 諸痺를 治하고,
5. 桂心, 赤芍藥, 桃仁, 玄胡索(炒), 當歸(酒浸), 牧丹皮, 木香을 配合하여 月經不利, 臍腹痛或은 小腹引腰氣 攻胸膈을 治하고,
6. 靑藁, 生地黃, 麥門冬, 枸杞子를 配合하여 熬膏하여 婦人血虛, 發熱 內熱, 口乾舌苔를 治하고,
7. 川芎, 朴硝, 蒲黃, 桂心, 當歸, 生薑, 生地黃을 配合하여 姙娠 5∼6月에 墮胎胞衣不下를 治하고,
8. 茯逞, 澤瀉, 車前子를 配合하여 停水를 治하고,
9. 當歸, 陳皮를 配合하여 截虐하고,
10. 肉琮蓉, 當歸, 枳殼, 郁李仁,  升麻를  配合하여  老人의  虛便秘를 治하고,
11. 熟地黃, 當歸, 枸杞子, 杜衷, 肉桂, 甘草(炙)를 配合하여 眞陰虧損, 婦人經遲血少筋骨心腹痛을 治하고,
12. 木瓜,  石斛,  鄙骸, 生地黃, 黃柏, 五加皮, 骨碎補, 續斷, 金銀花, 白汲, 芍藥, 甘草, 甘菊根, 紫翫,  地丁,  玔草,  連翹를  配合하여 鶴膝風을 治하고,
13. 桑奇生, 杜衷을 配合하여 腰膝痛을 治하고,
14. 甘菊,  石斛,  木瓜, 芍藥, 生地黃, 虎骨, 沈香, 人蔘, 白朮, 黃朞, 天文冬,  麥門冬,  杜衷, 續斷, 白芍藥, 橘皮, 黃柏, 桑奇生을 配合하여 一切 蔿痺, 四肢拘攣, 筋骨疼痛을 治하고,
15. 桃仁, 紅花를 配合하여 破血行滯하고,
16. 當歸尾, 赤芍藥을 配合하여 經道가 막힌 것을 通하게 한다.

※처방예: 獨活寄生湯, 四妙丸, 加味補陰丸(의학입문), 加味三妙丸(의학입문)

 

◇ 기원(基源) ◇
絃科(비름과 Amaranthaceae)에 屬한 多年生草本인 쇠무릅(우슬)의 根이다.
山野  또는 路傍에 自生하는  植物로 根은 粗鬚狀이고 莖은 方形이고 直立하였으며 가지가 많이 分枝되었다. 높이는 約 1m以上이며 節은 隆起되었다.  葉은 對生하고 有柄으로 楕圓形이며  楔脚에 銳尖頭이고 毛茸이 散花하였으며 길이는 10∼20cm內外이다. 꽃은 穗狀花序로 頂生 또는 側出하고 많은 꽃이 密着한다. 花色은 綠色이고 8∼9月에 開花한다.


◇ 금기(禁忌) 및 주의사항 ◇
白前을 畏하고 螢火, 鼈甲을 惡하고 牛肉을 忌한다. 病이 上焦에 있는 者와 氣虛下陷, 大便易泄, 夢泄遺精, 姙婦崩漏, 및 脾虛下陷으로 因하여  腿膝腫痛者는 均忌하고 泄瀉者는 不能用하고 腰以上 疼痛에도 不能用한다.

자궁을 수축시켜  태아를 류산시키는 작용이 있으므로 임산부와 위장이 약한 사람은 사용을 하지않는다.

최근 우슬을 닭발과 함께 달여먹으면 관절염에 좋다하여 사용하는경우가 많은데 위기능과 체질적인 문제들을 참고하여 사용하되 주의하여 사용해야한다.


◇ 형태(形態) ◇
本品은 圓柱狀의 馬鞭狀을 이루고 殘莖은 없으며 根頭部는 길이가 約 10cm, 直徑이 約 2cm인데 微細한 皺紋이 있으며 木質로서 堅硬하여 거의 破折하지 않는다. 根部는 直徑이 1cm 未滿이나 길이는 40cm가 넘어 90∼100cm에까지 達하는 것도 있다.  外面은 黃灰色  또는 灰褐色을 呈하고 枝根을 切除한 根痕과 多數한 縱皺가 있고 또 幅이 1mm餘의 橫紋이 散在하였다.  質은 柔軟한데 破折面은 纖維狀으로서 平坦하고 縱裂할 수 있다. 根의 橫斷面은 褐色 내지는 紫褐色을 呈하고 木部는 年輪的인데 고르지 못한 淡褐色의 環紋을 볼 수 있다. 皮部는 매우 簿하고 根頭部는 거의 木質로서 年輪性을 呈하고 中心은 흔히 空噓한 것도 있다. 우리나라 産 牛膝은 細長한 圓柱狀인데 길이가 6∼10cm,直徑이 0.3∼1cm이다. 흔히 基部에서 分岐하여 馬尾狀을 呈하고 根頭에는 殘莖이 있다. 外面은 灰褐色 또는 黃褐色을 呈하고 微細한 縱皺와 根痕이 있다. 破折面은 纖維性인데 類白色 또는 褐色을 呈하고 粒狀이며 質은 약간 柔軟하다.  中國産은 Achyranthes bidentata Blume를 四川省産 川牛膝이라 한다.


◇ 성분(成分) ◇
一種의 Saponin, 칼슘, 粘液質 등을 含有하였다.


◇ 산지(産地) ◇
일본과 한국 전국각지에 분포하며 특히 제주도산이 유명하다.

 

◇ 수치(修治) ◇
下行하고저 할 때는 生用하고 滋補코저 할 때는 焙用 或은 酒拌蒸熟用 或은 鹽水炒用한다.


◇ 학명(學名) ◇
Achyranthes japonica(Miquel)Nakai.(쇠무릅)
Achyranthes bidentata Blume.(참쇠무릅,懷牛膝)
Cyathula capitata (Wall.) Moq.(麻牛膝)
C. officinalis Kuan.(甛牛膝,川牛膝)

'◈本草學情報' 카테고리의 다른 글

복숭아에 대하여   (0) 2009.11.23
솔잎에 대하여  (0) 2009.04.15
[스크랩] 개쑥부쟁이  (0) 2009.02.15
陰羊藿( 삼지구엽초)  (0) 2009.02.14
상 륙  (0) 2009.02.14